마가복음 11장 1-21절. 예루살렘과 무화과나무 > QT로 여는 아침

본문 바로가기

QT로 여는 아침

마가복음 11장 1-21절. 예루살렘과 무화과나무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VisionChurch
댓글 0건 조회 6,710회 작성일 22-03-26 03:53

본문

마가복음 111-21. 예루살렘과 무화과나무

 

1. 나귀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

2: 이르시되 너희는 맞은편 마을로 가라 그리로 들어가면 곧 아직 아무도 타 보지 않은 나귀 새끼가 매여 있는 것을 보리니 풀어 끌고 오라

3: 만일 누가 너희에게 왜 이렇게 하느냐 묻거든 주가 쓰시겠다 하라 그리하면 즉시 이리로 보내리라 하시니

- 예언의 성취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아 즐거이 부를지어다 보라 네 왕에 네게 임하리니 그는 공의로우며 구원을 베풀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새끼니라”(9:9)

- 하나님의 말씀은 믿음 있는 자들의 결단과 순종에 의해 이루어진다.

- 우리에게 그러한 믿음이 있는가?

- 나의 물질, 나의 건강, 나의 시간, 나의 생명 - “주가 쓰시겠다하시면 내어드리자!

 

2. 잎사귀만 무성한 무화과나무

12: 이튿날 그들이 베다니에서 나왔을 때에 예수께서 시장하신지라

13: 멀리서 잎사귀 있는 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혹 그 나무에 무엇이 있을까 하여 가셨더니 가서 보신즉 잎사귀 외에 아무 것도 없더라 이는 무화과의 때가 아님이라

- 무화과 : 중동의 독특한 기후에서 4월부터 10월까지 모두 5번 열매를 맺는다. 유월절이 다가오면 조그마한 잎사귀와 함께 첫 번째 무화과 열매(파게)를 맺고, 다음부터는 순차적으로 열매를 맺는다.(테에나)

- 이에 지금은 첫 번째 열매인 파게가 맺힐 때이다.

- 13절의 무화과는 테에나

- ‘베다니라는 지명은 두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졌다. 베이트() + 테에나(무화과)

- 무화과 마을에서 무화과를 저주하신 것. 왜 그러셨을까?

- 무화과는 이스라엘을 대표한다. 그런데 지금 열매가 없다. 잎사귀만 무성한채.

 

3. 열매 없는 무화과 나무를 향한 저주

14: 예수께서 나무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이제부터 영원토록 사람이 네게서 열매를 따 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이를 듣더라

20: 그들이 아침에 지나갈 때에 무화과나무가 뿌리째 마른 것을 보고

21: 베드로가 생각이 나서 여짜오되 랍비여 보소서 저주하신 무화과나무가 말랐나이다

- 더 이상 육적인/지리적은 이스라엘은 의미없다.

- 그러나 마지막 때 한번은 더 쓰임받게 될 것이다.

1328-29: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배우라 그 가지가 연하여지고 잎사귀를 내면 여름이 가까운 줄 아나니 이와 같이 너희가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인자가 가까이 온 줄 알라


4. 나귀 vs 무화과나무

- 주께 쓰임 받고 있는 나귀와 버림받는 무화과 나무가 대비되고 있다.

- 나귀는 율법에 의하면 부정한 동물이다. 그러나 순종함으로 쓰임받고 있다. 그러나 무화과나무는 대대로 이스라엘 사람들의 허기를 채워주는 중요한 작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젠 버림받고 있다. 무엇 때문인가?

- 열매의 유무(有無) 때문이다.

 

 

** 사색 & 묵상 **

나무는 각각 그 열매로 아나니 가시나무에서 무화과를, 또는 찔레에서 포도를 따지 못하리라. 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니라”(6:44,45)

 

** 결단 & 중보 기도 **

1. 열매 맺는 인생 되겠습니다.

2. 하나님 나라의 도구로 쓰임받는 인생 되겠습니다.

3. 우리 가정을 주님의 도구로 써 주소서.

4. 마지막 때에 열매맺고 쓰임받는 우리 교회 되게 하소서.

5. 이 땅에 평화를 주소서.

 

** 나눔 & 실천 **

선한 열매 맺는 하루 되세요.
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