욥기 3장 욥의 탄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참소망교회 댓글 0건 조회 4,250회 작성일 24-06-12 03:54 목록 본문 욥기 3장 욥의 탄식 1-10 : 욥이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다 11-19 : 욥이 죽음을 사모하다 20-26 : 욥이 탄식하다. - 탄식의 목적 : 도와 달라는 것, 살려 달라는 것, 불쌍히 여겨 달라는 것- 욥기는 역사서가 아니다. 욥기는 지혜 문학이다. 이에 욥기를 이성으로 읽을 것이 아니라 감성으로 읽어야 한다. 그래야 유익이 있다. 시를 이성적으로/논리적으로 읽는 사람은 없지 않는가! 1. 일을 연 욥1절 : 그 후에 욥이 입을 열어 자기의 생일을 저주하니라- 드디어 입을 연 욥 차라리 끝까지 입을 열지 않고 참았더라면 더 좋았을 것을. - 하지만 지금 욥의 고통을 생각해보라 : 가진 것 다 잃었다. 자녀 잃었다. 건강 잃었다. 아내도 하나님 저주하고 죽으라 한다. 친구들은 와있는데 어이없어 할 말을 잃었다. - 인간으로서 견딜 수 있는 일인가? 담아두면 정신병 걸린다. - 3장의 기록이 있는 이유는 우리의 실존(實存)이 그러하기 때문이다. 개인도, 국가도, 세상도. 2. 욥의 탄식(1) 자신의 생일을 저주함. 11절 : 어찌하여 내가 태에서 죽어 나오지 아니하였던가이스라엘의 현재(바벨론 포로)를 보라. - 하나님과 겨루어 ‘이스라엘’ 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지금은 ‘욥’(미움받는 자)가 되었다. 3. 욥의 탄식(2) 죽음을 사모함22절 : 이러한 자는 죽기를 바라도 오지 아니하니 그것을 구하기를 땅을 파고 숨긴 보배를 찾음보다 더하다가- 어서 이 모든 고통이 끝나기를... 욥은 죽음에서 보배를 찾고 있다. - 그러나 그는 이 연단을 통해 참되고 영원한 보배를 찾는다. (세상의 부귀영화는 헛되다) 4. 욥의 인격과 신앙 - 원망하지 않았다. : 원망과 탄식은 다르다. 원망의 방향은 타인과 하나님이지만 탄식의 방향은 나 자신이다. 욥은 그 누구에게도 자신에게 불행이 찾아오는 것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지 않았다. - 왜? 세상과 인생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. - 욥의 인격과 신앙을 들어다볼 수 있는 구절이다. - 단지 자신의 삶에 대해 깊이 탄식하고 있을 뿐이다. - 탄식은 살려달라는 호소다. - 욥을 책망하고 싶은가? 우리가 책망하지 않아도 욥은 충분히 지금 힘들어 하고 있다. - 좀 참아라. 내가 아니어도 욥을 “충조평판”할 사람은 많다. 욥의 시대도 그러했고, 예수님 시대도 그러했고, 지금도 그렇다! ** 사색 & 묵상 **“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”(롬 12:15) ** 결단 & 중보기도 **1. 예수님처럼 타인의 아픔과 슬픔에 공감(共感)하는 자 되겠습니다. 2. 타인을 함부로 “충조평판”하지 않겠습니다. 3. 탄식이 찬양으로 바뀌게 하소서. 4. 주의 종들(유/초등부, 중/고등부 교역자)을 보내주소서. 5. 회복중에 있는 형제자매들을 도우시고, 이 땅에 평화를 주소서. ** 나눔 & 실천 **슬픔을 나누면 반이 되고 기쁨은 나눌 때 배가 된답니다. 공감(共感)해 주세요. 이전글욥기 4장. 엘리바스의 첫 번째 충고 24.06.13 다음글욥기 2장. 더 큰 재난과 세 친구의 방문 24.06.11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